티스토리 뷰
DB형 퇴직연금의 특징
DB형은 확정급여형(Defined Benefit) 약자로, 퇴직 시 근로자가 받을 퇴직급여가 사전에 확정되어 있는 제도입니다.
- 운용 구조
- 근로자가 퇴직할 때 받을 금액은 ‘퇴직 직전 3개월 평균임금 × 근속연수’로 계산됩니다.
- 기업이 자금을 운용하며, 근로자는 운용 결과와 무관하게 확정된 급여를 받습니다.
- 장점
- 근로자는 투자 지식이 없어도 안정적으로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운용 위험은 모두 기업이 부담하기 때문에, 근로자 입장에서는 예측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장기 근속자가 많을수록 유리한 구조를 가집니다.
- 단점
- 기업이 파산하거나 자금 운용이 부실할 경우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수익률은 낮은 편으로, 대부분 원리금 보장형 자산에 치중해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기 어렵습니다.
- 이직이 잦은 근로자는 퇴직금 누적 효과가 크지 않아 불리할 수 있습니다.
즉, DB형은 안정성은 높지만, 유연성과 수익성은 떨어진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DC형 퇴직연금의 특징
DC형은 확정기여형(Defined Contribution)의 약자로, 기업이 매년 일정 금액(퇴직금)을 근로자 개인 계좌에 적립하고, 운용은 근로자가 직접 책임지는 방식입니다.
- 운용 구조
- 기업은 매년 근로자 연봉의 일정 비율을 계좌에 납입합니다.
- 이후 운용은 근로자가 직접 선택하며, 펀드, ETF, 채권, 예금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근로자가 운용을 잘하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이직 시에도 계좌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이동성이 뛰어납니다.
- 장기 투자와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단점
- 투자 지식이 부족하면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 많은 근로자가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만 투자해 실질 수익률이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 운용 성과에 따라 퇴직 후 수령액이 달라지므로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즉, DC형은 근로자의 책임과 역량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는 제도로, 자기 주도적 금융 관리 능력이 필요합니다.
DB형 vs DC형 비교 분석
DB형과 DC형은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며, 근로자의 상황에 따라 유불리가 갈립니다.
- 위험 부담 주체
- DB형: 기업이 운용 위험을 부담.
- DC형: 근로자가 운용 위험을 부담.
- 수익성과 안정성
- DB형: 안정성은 높지만 수익성은 낮음.
- DC형: 수익성은 높을 수 있지만 손실 가능성도 존재.
- 근로자 유형별 유불리
- 장기 근속자: DB형이 유리. 근속 연수가 길수록 퇴직급여가 크게 산정되기 때문.
- 이직이 잦은 근로자: DC형이 유리. 계좌 이관이 가능하고, 운용 성과에 따라 자산을 늘릴 수 있기 때문.
- 기업 입장 차이
- 대기업: 장기 근속자가 많아 DB형 선호.
- 스타트업·중소기업: 인력 이동이 많아 DC형 도입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
- 세제 혜택
- 두 제도 모두 세제 혜택이 있지만, DC형은 IRP 계좌와 연계해 세액공제 한도를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선택과 활용 전략
근로자가 DB형과 DC형 중 선택할 수 있는 경우, 자신의 커리어와 투자 성향을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장기 근속 예정이라면 DB형
- 공기업이나 대기업에서 장기간 근속할 계획이라면, 안정적인 DB형이 적합합니다.
- 기업의 운용 능력이 안정적일수록 더 큰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이직 가능성이 크다면 DC형
- 여러 기업을 옮기며 커리어를 쌓는다면 DC형이 유리합니다.
- 계좌를 개인적으로 관리하며, 투자 성과에 따라 자산 증식을 꾀할 수 있습니다.
- 투자 성향 고려
- 보수적이라면 DB형, 적극적이고 금융 지식이 있다면 DC형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결론: 개인 상황에 맞는 퇴직연금 선택이 필요하다
DB형과 DC형 퇴직연금은 각각 안정성과 수익성이라는 상반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DB형은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퇴직금을 보장하지만, 수익률이 낮아 장기적인 자산 증식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DC형은 근로자의 투자 역량에 따라 성과가 달라져, 적극적으로 운용한다면 노후 자산을 크게 늘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퇴직연금 제도를 이해하고, 자신의 커리어 전망과 투자 성향에 따라 합리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퇴직연금만으로는 충분치 않기 때문에 국민연금, 개인연금과 함께 3층 보장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